2025년 최신 ETF 용어 사전: A to Z 완전 정복
🅐 Alpha (알파)
정의
알파는 ETF 또는 펀드의 초과 수익률을 의미합니다.
즉, 시장지수 대비 얼마나 더 수익을 냈는지를 보여주는 지표입니다.
ETF 투자자 팁
ETF는 주로 패시브 투자이기 때문에 알파보다는 지수 수익률 자체를 추구합니다.
그러나 일부 액티브 ETF에서는 알파 창출이 핵심 전략입니다.
🅑 Basis Point (bps, 베이시스 포인트)
정의
1bp = 0.01%. 수수료나 금리 차이를 설명할 때 사용하는 단위입니다.
예: 총보수 20bps → 0.20%
ETF 투자자 팁
ETF 수수료 비교 시 총보수(TER)가 5~10bps만 차이나도 장기 수익률에 큰 차이 발생 가능!
🅒 Creation/Redemption (생성·환매 메커니즘)
정의
ETF는 일반 펀드처럼 직접 환매되지 않고, 기관투자자(AP)가 ETF를 시장에 공급하거나 회수합니다.
ETF 투자자 팁
이 구조 덕분에 ETF는 실시간 거래가 가능하고, 괴리율 조정 메커니즘이 작동합니다.
ETF의 유동성과 투명성이 확보되는 핵심 구조입니다.
🅓 Diversification (분산 투자)
정의
ETF는 다양한 자산으로 구성돼 있어 단일 종목 리스크를 분산시켜줍니다.
예: KODEX 200 = 코스피200 종목 자동 분산
ETF 투자자 팁
특정 업종, 국가, 테마에 집중된 ETF도 있지만, 기본적으로는 분산 투자 원칙을 내재하고 있어
초보자에게 가장 적합한 투자 수단 중 하나입니다.
🅔 ESG (환경·사회·지배구조)
정의
2025년에도 계속해서 핫한 테마 ETF 기준.
기업의 지속 가능성과 사회적 책임을 고려한 투자 전략입니다.
ETF 투자자 팁
KRX ESG Leaders 150 등 ESG 기반 지수 추종 ETF는
정책 수혜, 글로벌 자금 유입 등으로 장기적 기대감 높음.
→ 단, 구성 기업의 실제 ESG 점수 및 리밸런싱 주기 꼭 확인!
🅕 Factor Investing (팩터 투자)
정의
수익률에 영향을 주는 ‘요인(Factor)’을 기반으로 구성된 전략.
대표 팩터: 가치(Value), 성장(Growth), 모멘텀(Momentum), 변동성(Volatility)
ETF 투자자 팁
TIGER 모멘텀 ETF, ARIRANG 저변동성 ETF처럼
팩터 기반 ETF는 특정 전략에 따라 장단기 성과가 다르므로
시장 사이클에 맞게 선택해야 효과적입니다.
🅖 Gamma (감마)
정의
옵션 기반 ETF에서 사용되는 수학적 개념.
델타(Delta)의 변화율을 측정, 즉 옵션 민감도를 파악합니다.
ETF 투자자 팁
레버리지/인버스 ETF나 변동성 ETF에 투자할 때 감마는 수익률에 큰 영향을 미침.
→ 초보자에겐 복잡하니 파생형 ETF는 신중하게 접근하는 것이 좋습니다.
🅗 Hedge (헤지)
정의
자산 가치 하락 위험을 줄이기 위한 전략.
환율, 금리, 주식시장 변동 등에 대비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ETF 투자자 팁
해외 ETF에선 ‘환헤지형’ 여부가 중요한 포인트!
→ ‘TIGER 미국S&P500 환헤지’ vs ‘환노출형’ 구분하고 투자 전략 조정 필요
🅘 Index Fund (인덱스 펀드)
정의
ETF의 기본이 되는 개념.
시장 지수를 그대로 추종하는 패시브 운용 펀드를 말합니다.
ETF 투자자 팁
ETF는 일종의 상장된 인덱스 펀드입니다.
따라서 지수 구성 방식, 리밸런싱 주기, 추종 전략 등은 ETF 성과에 직접 영향을 미칩니다.
🅙 Junk Bond (정크본드)
정의
신용등급이 낮아 고수익·고위험인 채권.
High Yield Bond라고도 불림.
ETF 투자자 팁
‘KODEX 미국고수익회사채’ 등 정크본드 ETF는
금리 하락기엔 수익률 좋지만, 신용위험 시 급락 가능성 있음 → 분산 필수!
🅚 K-ETF (Korean ETF)
정의
한국 시장에 상장된 ETF 전체를 통칭하는 개념.
2025년 기준 약 850개 이상의 K-ETF가 존재함.
ETF 투자자 팁
네이버 금융, ETF Finder 등을 통해 K-ETF 비교 검색 가능.
→ 총보수, 거래량, 지수 구성, 괴리율 등을 체크하여 선택
🅛 Liquidity (유동성)
정의
ETF를 사고팔 수 있는 용이성을 말하며, 거래량과 스프레드에 영향을 미침.
ETF 투자자 팁
유동성 높은 ETF는 스프레드가 좁고, 괴리율도 낮음
→ 초보자일수록 거래량 많은 ETF 위주로 선택하는 것이 유리
🅜 Market Maker (MM, 유동성 공급자)
정의
ETF 시장에서 호가를 지속적으로 제시하며 유동성을 공급하는 기관 투자자.
ETF 가격이 NAV와 괴리되지 않도록 시장 안정화 역할을 수행합니다.
ETF 투자자 팁
유동성 공급자가 활발히 참여하는 ETF는
스프레드가 좁고, 거래가 원활해 초보자도 매매하기 쉬움.
→ 거래량 낮은 ETF는 반드시 MM 참여 여부를 확인하세요!
🅝 NAV (Net Asset Value, 순자산가치)
정의
ETF가 보유한 자산을 기준으로 산출된 ‘진짜 가치’입니다.
ETF의 실제 시장 가격과 비교할 때 사용하는 기준이죠.
ETF 투자자 팁
ETF는 실시간 거래가 가능하지만, 항상 NAV를 따르지 않습니다.
→ 시장가 vs NAV의 차이 = 괴리율
HTS/MTS에서 실시간 NAV 확인 가능!
🅞 Optimization (최적화 운용)
정의
ETF가 지수를 추종할 때, 전체 종목을 다 담지 않고 일부만 선택하여
비슷한 수익률을 내도록 구성하는 방식.
ETF 투자자 팁
지수가 너무 많은 종목으로 구성되어 있거나 거래비용이 클 경우 최적화 운용 사용.
→ 추종 오차가 클 수 있으므로 Tracking Error 체크 필수!
🅟 Passive Investing (패시브 투자)
정의
시장 평균 수익률을 추종하는 방식.
ETF의 본질이 바로 이 ‘패시브’ 전략에 기반합니다.
ETF 투자자 팁
낮은 비용 + 분산 효과 = 장기적 복리 수익률의 핵심
→ 초보자, 직장인, 장기 투자자에게 가장 적합한 투자 방식
🅠 Qualified Investor (적격 투자자)
정의
기관, 자산 규모가 큰 고액 투자자 등 특정 ETF에 접근 가능한 투자자군
→ 일부 레버리지, 파생형, 구조화 ETF는 일반 개인 투자자 접근 제한
ETF 투자자 팁
ETF 설명서에서 ‘적격 투자자 전용’ 문구 확인
→ 개인 투자자는 접근 불가능한 상품도 있음 (특히 해외 상장 ETF 중)
🅡 Rebalancing (리밸런싱)
정의
지수를 구성하는 종목이나 비중을 주기적으로 조정하는 행위.
대부분 분기, 반기, 연 단위로 수행됩니다.
ETF 투자자 팁
리밸런싱 직전/직후에는 구성 종목에 큰 변화가 발생하므로
→ ETF 수익률, 유동성, 배당 등 변동 가능성에 주의!
🅢 Synthetic ETF (스와프형 ETF)
정의
실물 자산을 직접 보유하지 않고, 스와프 계약을 통해 지수 수익률을 추종하는 ETF.
ETF 투자자 팁
일부 해외지수 ETF, 원자재 ETF 등에서 사용
→ 추종 효율성은 높지만, 신용 리스크 존재 → 운용사, 계약 상대방 신뢰도 확인
🅣 Tracking Error (추종 오차)
정의
ETF 수익률과 추종 지수 수익률 간의 차이.
‘얼마나 잘 따라가고 있는가’를 수치로 보여줍니다.
ETF 투자자 팁
0.1%~0.5% 수준이면 양호.
→ 0.5% 이상이면 ETF 구성/운용 방식 재점검 필요
🅤 Underlying Index (기초 지수)
정의
ETF가 따라가는 기준이 되는 지수입니다.
예: KODEX 200의 기초 지수는 ‘KOSPI 200’
ETF 투자자 팁
ETF 선택 시 기초 지수가 무엇인지, 신뢰성은 있는지, 구성은 어떻게 되는지
반드시 확인해야 합니다.
🅥 Volatility (변동성)
정의
ETF 가격의 오르내림 정도를 나타냅니다.
변동성이 높을수록 리스크도 큽니다.
ETF 투자자 팁
변동성 ETF (예: KODEX 코스닥150선물인버스) 등은
단기 대응용 상품으로 적합하며,
장기 보유에는 부적합한 경우가 많습니다.
🅦 Weighting (비중 방식)
정의
지수 또는 ETF 내 개별 종목의 편입 비중을 결정하는 방식
방식 | 설명 |
시가총액 가중 | 대형주 비중 큼 (예: KOSPI200) |
동일 비중 | 모든 종목 균등 편입 |
스마트 베타 | 특정 조건(성장성, 수익성 등) 반영 |
ETF 투자자 팁
비중 방식에 따라 ETF 수익률이 달라지므로,
→ 성향에 따라 전략 선택 필수
🅧 X-trackers (엑스트래커)
정의
Deutsche Bank(도이체방크)에서 만든 글로벌 ETF 브랜드
→ X-trackers MSCI USA 등 다양한 해외 ETF 존재
ETF 투자자 팁
X-trackers는 유럽계 ETF지만 한국에서도 거래 가능,
특히 유럽 시장 노출이 필요한 경우 참고할 수 있음
🅨 Yield (수익률)
정의
ETF에서 말하는 수익률은 주로 **분배금 수익률(Dividend Yield)**을 의미합니다.
ETF 투자자 팁
국내 ETF는 분기 또는 반기 배당이 일반적
→ 투자 목적이 **인컴형(수익 분배 중심)**이라면 분배금 수익률을 비교해 선택해야 합니다.
🅩 Zero-fee ETF (제로피 ETF)
정의
2025년 미국에서 확대되고 있는 ‘총보수 0% ETF’
일정 기간 수수료를 받지 않거나, 수익 일부 환급 구조로 구성됨.
ETF 투자자 팁
제로피 ETF는 마케팅 목적일 수 있음
→ 숨은 비용, 추종 오차, 거래량 부족 등의 단점도 함께 체크 필요!
(결론 ) ETF 용어를 알면 수익률이 달라진다
ETF는 구조가 단순해 보이지만, 내부 용어와 운용 전략은 매우 복합적입니다.
이번 2025년 최신 용어 정리를 통해 핵심 용어들을 체계적으로 이해하면,
ETF 투자 판단력이 높아지고, 리스크 관리가 쉬워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