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etf 이해3 2025년 최신 ETF 용어 사전: A to Z 완전 정복 🅐 Alpha (알파)정의알파는 ETF 또는 펀드의 초과 수익률을 의미합니다.즉, 시장지수 대비 얼마나 더 수익을 냈는지를 보여주는 지표입니다.ETF 투자자 팁ETF는 주로 패시브 투자이기 때문에 알파보다는 지수 수익률 자체를 추구합니다.그러나 일부 액티브 ETF에서는 알파 창출이 핵심 전략입니다. 🅑 Basis Point (bps, 베이시스 포인트)정의1bp = 0.01%. 수수료나 금리 차이를 설명할 때 사용하는 단위입니다.예: 총보수 20bps → 0.20%ETF 투자자 팁ETF 수수료 비교 시 총보수(TER)가 5~10bps만 차이나도 장기 수익률에 큰 차이 발생 가능! 🅒 Creation/Redemption (생성·환매 메커니즘)정의ETF는 일반 펀드처럼 직접 환매되지 않고, 기관투자자(.. 2025. 8. 23. ETF가 인덱스를 추종하는 로직, 알고 투자하자 목 차1. ETF란 무엇인가? – 인덱스와의 관계부터2. ETF가 추종하는 ‘지수’란 무엇인가3. ETF는 어떻게 지수를 따라가는가? 구조와 방식4. 복제 방식에 따른 ETF 운용 구조 (완전복제 vs 샘플링 등)5. ETF 추종오차란 무엇인가? 왜 발생하는가?6. 투자자가 체크해야 할 핵심 지표 3가지7. 테마형 인덱스 투자에서 주의할 점8. (결론) 구조를 알면 ETF는 더 쉬워진다9. & 1. ETF란 무엇인가? – 인덱스와의 관계부터ETF는 ‘Exchange Traded Fund’의 줄임말로, 특정 지수를 그대로 추종하는 펀드입니다.즉, ETF의 핵심은 “지수 추종”입니다. 이를 모르고 ETF를 매매하는 것은 자동차를 운전하면서 엔진 원리를 모르는 것과 같습니다.ETF = 지수를 따라가는.. 2025. 8. 22. ETF는 이렇게 구성된다! 구조 및 운용 방식 A to Z ETF(상장지수펀드)는 최근 개인 투자자와 기관 모두에게 가장 인기 있는 투자 상품 중 하나로 자리 잡고 있습니다. 하지만 ETF가 단순히 '지수를 따라가는 펀드'라는 정의만으로는 그 구조를 온전히 이해하기 어렵습니다.이번 글에서는 ETF가 어떻게 구성되고, 어떤 방식으로 운용되며, 실제 시장에서 어떻게 거래되는지에 대한 전체 흐름과 핵심 구조를 A부터 Z까지 정리합니다.ETF 이해를 처음부터 끝까지 돕는 본문으로, ETF에 대한 본질적인 이해를 통해 실전 투자에 활용할 수 있는 인사이트를 살펴보자. 목 차1. ETF란 무엇인가? 기본 개념 재정리2. ETF의 핵심 구성 요소 – 5대 구조3. ETF는 어떻게 만들어지는가 – 설정과 환매 구조4. ETF 운용 방식 – 인덱스 추종과.. 2025. 8. 21.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