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재테크

TIGER vs KODEX vs ACE vs RISE, 어떤 나스닥100 ETF가 유리할까?

by 자발적 해고 2025. 9. 13.
반응형

 

2025년 국내 상장 나스닥100 ETF 4종을 비교

TIGER, KODEX, ACE, RISE의 수익률·보수·특징을

정리해 투자자에게 맞는 선택을 추천

TIGER vs KODEX vs ACE vs RISE, 어떤 나스닥100 ETF가 유리할까?

 

               [목     차]

TIGER vs KODEX vs ACE vs RISE, 어떤 나스닥100 ETF 유리?

1. 왜 국내 상장 나스닥100 ETF인가?

나스닥100 지수는 애플, 마이크로소프트, 엔비디아, 아마존 같은 글로벌 기술주들이 모여 있는 지수입니다. 미국 증시의 성장을 그대로 담고 싶어 하는 투자자라면 나스닥100 ETF는 사실상 필수 선택지라고 할 수 있죠.

물론 미국에 직접 상장된 QQQQQQM 같은 ETF에 투자할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환율, 세금, 해외 거래 계좌 개설 같은 진입 장벽이 있는 것도 사실이에요. 그래서 많은 국내 투자자들이 선택하는 게 바로 국내 상장 나스닥100 ETF입니다. 원화로 손쉽게 매매할 수 있고, 배당소득세도 국내 기준으로 처리되기 때문에 편리하죠.

2025년 현재 국내에서 거래되는 나스닥100 ETF는 크게 네 가지입니다. TIGER, KODEX, ACE, RISE. 오늘은 이 네 가지 상품을 수수료, 수익률, 특징을 기준으로 비교해 보고, 어떤 투자자에게 맞는 ETF인지 정리해 드릴게요.

 

2. TIGER 나스닥100 ETF: 국내 최대 규모

먼저 TIGER 나스닥100 ETF입니다. 미래에셋자산운용이 운용하는 이 ETF는 현재 설정액이 4조 원을 넘어서면서 국내 최대 규모를 자랑합니다. 그만큼 거래량도 활발해서 유동성 걱정이 거의 없습니다.

운용보수는 0.07%로 업계 최저 수준이며, 최근 1년 수익률은 약 +44%를 기록했습니다. 사실상 ‘국내판 QQQ’라고 부를 수 있을 정도로 대표적인 ETF죠. 특히 개인 투자자뿐만 아니라 기관 투자자도 많이 참여하고 있어 신뢰성이 높습니다.

만약 “나는 가장 안정적이고 거래하기 편한 ETF를 원한다”라고 한다면, TIGER 나스닥100 ETF가 가장 먼저 고려 대상이 됩니다.

 

3. KODEX 나스닥100 ETF: 안정적인 국민 ETF

두 번째는 KODEX 나스닥100 ETF입니다. 삼성자산운용이 운용하며, 설정액은 약 2.5조 원으로 TIGER 다음으로 큽니다. 운용보수는 마찬가지로 0.07%로 저렴합니다.

최근 1년 수익률은 +43.8%로 TIGER와 거의 비슷합니다. 특징은 안정적인 거래량과 꾸준한 수익률로, 장기 투자자들이 많이 선택하는 ETF라는 점이에요. 특히 ‘삼성’ 브랜드에 대한 신뢰도 한몫하고 있습니다.

만약 TIGER와 KODEX 중 하나를 고민한다면, 사실 큰 차이는 없고, 단순히 운용사에 대한 개인적 신뢰나 거래 편의성에 따라 결정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4. ACE 나스닥100 ETF: 보수 경쟁력 있는 선택

세 번째는 ACE 나스닥100 ETF입니다. 한국투자신탁운용이 운용하며, 설정액은 약 5천억 원 정도로 TIGER나 KODEX에 비하면 규모는 작습니다. 하지만 운용보수가 0.09%로 여전히 저렴한 편이라 장기 투자자에게 매력적일 수 있습니다.

최근 1년 수익률은 +43.7%로, TIGER와 KODEX와 거의 차이가 없습니다. 다만 거래량이 상대적으로 적기 때문에 단기 매매보다는 장기 보유를 염두에 두는 투자자에게 더 적합합니다.

즉, “난 꼭 대형사 상품이 아니어도 괜찮다, 장기적으로 꾸준히 가져갈 거다”라는 투자자라면 ACE ETF도 충분히 고려할 만합니다.

5. RISE 나스닥100 ETF: 신흥 강자의 등장

마지막으로 살펴볼 ETF는 RISE 나스닥100 ETF입니다. 신한자산운용이 2023년에 내놓은 상품으로, 비교적 역사는 짧지만 빠르게 존재감을 키우고 있습니다. 설정액은 약 4천억 원 수준으로 ACE와 비슷한 규모를 보이고 있어요.

운용보수는 0.09%로 ACE와 같고, 최근 1년 수익률은 +43.5%를 기록했습니다. 큰 차이는 아니지만 TIGER·KODEX 대비 약간 낮은 성과죠. 하지만 RISE는 배당금(분배금) 지급 구조를 차별화해 장기 보유 투자자들에게 어필하고 있습니다.

즉, RISE ETF는 신흥 강자답게 차별화 전략을 통해 시장에서 점유율을 넓혀가는 단계라고 볼 수 있습니다.

6. TIGER·KODEX·ACE·RISE 비교 총정리

지금까지 네 가지 ETF를 살펴봤습니다. 한눈에 비교할 수 있도록 표로 정리해 볼게요.

ETF 운용사 운용보수 설정액 최근 1년 수익률 특징
TIGER 미래에셋 0.07% 4조 원+ +44% 국내 최대 규모, 유동성 최고
KODEX 삼성자산운용 0.07% 2.5조 원 +43.8% 안정적인 국민 ETF
ACE 한국투자신탁 0.09% 5천억 원 +43.7% 보수 경쟁력, 장기투자 적합
RISE 신한자산운용 0.09% 4천억 원 +43.5% 분배금 차별화, 신흥 강자

보시는 것처럼 수익률 차이는 사실상 크지 않습니다. 결국 선택의 기준은 운용사 신뢰도, 운용보수, ETF 규모가 됩니다.

7. 투자 성향별 ETF 추천 가이드

그럼 어떤 투자자가 어떤 ETF를 선택하는 게 좋을까요? 성향별로 나눠보겠습니다.

  • 안정적인 대형사 선호 → TIGER 또는 KODEX (규모와 유동성 최고, 장기·단기 모두 적합)
  • 보수 경쟁력 중시 → ACE (규모는 작지만 장기 투자 시 수수료 차이 누적 효과 있음)
  • 새로운 상품·분배금 차별화 관심 → RISE (신흥 강자로 장기 보유자에게 매력적)

즉, ETF 선택은 단순히 수익률만 보는 게 아니라, 투자 목적과 성향에 맞춰야 한다는 점을 꼭 기억하세요.

 

 

 

 

8. 2025년 ETF 투자 전략

정리해 보면, 2025년 현재 국내 상장 나스닥100 ETF 4종은 모두 비슷한 성과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따라서 “어떤 걸 사야 할까?”라는 질문에는 규모와 보수, 운용사 신뢰도를 기준으로 답할 수 있습니다.

가장 무난한 선택은 TIGER와 KODEX, 장기적 보수 효과를 노린다면 ACE, 새로운 전략을 원하는 분들은 RISE를 고려할 수 있죠. 즉, 정답은 하나가 아니라 “내 투자 스타일에 맞는 ETF를 고르는 것”입니다.

결국 핵심은 나스닥100이라는 강력한 지수에 투자한다는 점에서 네 가지 ETF 모두 장기적으로는 긍정적인 투자처라는 사실입니다. 2025년 투자 전략은 “ETF 선택 기준을 명확히 하고, 장기적 시각을 가져라”라고 정리할 수 있습니다.

 

 

QQQ vs TQQQ vs QQQM, 어떤 나스닥100 ETF가 내게 맞을까?

2025년 나스닥 100 ETF TOP3, QQQ·QQQM·TQQQ의 차이점을 쉽게 정리 운용보수, 수익률, 투자 성향별 선택 포인트를 확인하세요. [목 차]1. 나스닥100 ETF에 투자하는 이유2. QQQ: 대표적인 나스닥 100 ETF3. QQQM:

freelife79.com

 

 

반응형